본문 바로가기

주식기초5

주식 초보를 위한 매수 타이밍 기본 원칙 주식을 처음 시작하면 가장 많이 하는 질문이 있습니다. 👉 “언제 사야 하나요?”사실 이 질문은 모든 투자자의 영원한 고민거리예요. 하지만 초보자일수록 ‘완벽한 타이밍’을 찾으려다 시장에 제대로 들어가지 못하거나, 반대로 조급하게 사서 손실을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초보자가 꼭 기억해야 할 매수 타이밍의 기본 원칙을 이야기해 드릴게요. 1. ‘최저점’은 아무도 모른다많은 초보자들이 “바닥에서 사야지”라는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현실은 다릅니다. 주가는 뉴스, 세계 경제, 환율, 금리 등 수많은 요인에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누구도 최저점을 정확히 맞출 수 없습니다.💡 비유: 집을 살 때 “서울 아파트 가격이 딱 이 달에 제일 싸다”를 미리 맞추는 건 불가능하죠. 지나고 나서야 “아, 그때가 바.. 2025. 8. 26.
초보자를 위한 재무상태표 읽는 법, 실전 투자 주의사항 총정리 📌 재무상태표란?재무상태표는 한 기업의 건강검진표라고 보면 됩니다. 기업이 현재 가진 자산(Assets), 빚(부채, Liabilities), 그리고 그 차이로 남는 자기 자본(Equity)을 한 장에 정리한 문서죠. 특징은 ‘일정 시점’의 스냅샷이라는 점이에요. 예를 들어, 2024년 12월 31일 재무상태표를 보면 그날 기준으로 회사가 가진 재산과 빚을 알 수 있습니다. 1. 자산(Assets) — 회사가 가진 모든 것자산은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나뉩니다.유동자산: 1년 안에 현금화할 수 있는 것 (현금, 단기예금, 재고자산, 매출채권 등)비유동자산: 오래 보유하는 것 (공장, 토지, 장기투자, 특허권 등)💡 예시편의점 사장님을 생각해 봅시다.- 유동자산: 가게 금고에 있는 현금, 창고에 쌓인.. 2025. 8. 11.
재무제표 현금흐름표 주식초보도 아주 쉽게 이해하는법 주식 초보가 기업을 분석할 때 손익계산서만 보고 판단하면 착각할 수 있습니다. 장부상 ‘이익’은 있는데 실제로는 돈이 안 들어오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죠. 이번 글에서는 현금흐름표를 통장 잔액 보듯 읽는 법을 생활 사례와 숫자 예시로 쉽게 설명합니다. 초보자도 바로 적용 가능한 체크포인트를 중심으로 정리했으니 편하게 읽어보세요.현금흐름표란? — 통장 입출금 내역표라고 생각하세요현금흐름표는 어렵게 생각할 필요 없습니다. 그냥 ‘기업 통장에 돈이 어떻게 들어오고, 나갔는지’ 보여주는 표라고 이해하면 됩니다.손익계산서가 ‘장부상의 이익’을 보여준다면, 현금흐름표는 ‘실제로 통장에 찍힌 현금’을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친구에게 10만 원어치 물건을 팔았지만 아직 돈을 못 받았다면 손익계산서에는 매출이 잡히지만, .. 2025. 8. 9.
주식 초보를 위한 재무제표 읽는 법 “주식 사기 전에 재무제표는 꼭 봐야 한다던데... 근데 그게 도대체 뭔데?”처음 주식을 시작하는 분들은 재무제표라는 단어만 들어도 머리가 아플 수 있습니다. 숫자도 많고, 한눈에 봐도 어려워 보이죠.그런데 재무제표는 회사를 이해하는 가장 쉬운 방법이기도 합니다.오늘은 그중에서도 주식 초보가 꼭 알아야 할 ‘손익계산서’를 중심으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재무제표는? 회사의 성적표! 재무제표는 회사가 지난 1년 동안 돈을 얼마나 벌었고, 얼마나 썼고, 지금 돈이 얼마나 남았는지를 보여주는 성적표 같은 거라 생각하시면 아주 쉬워요! 우리가 학교에서 성적표 받으면 과목별 점수가 나오죠?회사도 똑같아요. “이 회사가 잘하고 있나? 망하고 있나?”를 숫자로 보여주는 게 바로 재무제표입니다.재무제표는 크.. 2025. 8. 4.
주식투자 필수용어 EPS, BPS, PBR 핵심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리프입니다. 지난 글에서 PER과 ROE를 통해 기업의 수익성과 주가 수준을 파악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었죠?이번글에서는 주식 투자를 위한 기업 분석에 아주아주 중요한 또 다른 세가지 지표인,EPS(주당순이익), BPS(주당순자산), PBR(주가순자산비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해 볼게요.여러분들이 기업의 가치를 판단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EPS (Earnings Per Share) : 주당순이익 EPS는 기업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을 발행된 총 주식 수로 나눈 값이에요. 주식 1주당 기업이 얼마나 많은 순이익을 창출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의 수익성을 판단하는 데 매우 중요하게 활용된답니다. ▶️ 계산방식 EPS = 당기순이익 ÷ 발행주식총수 ▶️ EPS의 의미 및 활용수익성 .. 2025. 7.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