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프의 투자 성장기

호가창이란? 주식 체결 원리를 쉽게 이해해 보자!

by 리프디엠 2025. 7. 12.

주식 앱을 처음 열었을 때, 눈앞에 쏟아지는 수많은 숫자들과 색깔들. 빨간색, 파란색, 거래량, 체결가… 이게 다 무슨 뜻일까요?

‘호가창’은 초보자가 처음 마주하는 가장 혼란스러운 화면입니다. 하지만 이것만 이해하면 주식이 “어떻게 사고 팔리는지” 흐름을 이해할 수 있고, 실제 매수/매도 시점도 훨씬 명확하게 잡을 수 있어요.

이 글에서는 복잡한 용어는 최소화하고, 호가창과 체결의 구조를 비유와 예시로 아주 쉽게 설명드릴게요.

 

호가창과 주식체결

호가창이란? 사고팔고 부르는 ‘주문 게시판’

‘호가창’은 말 그대로 사고파는 가격을 부르는 게시판이에요. 한 번 이렇게 상상해볼게요. 어느 시장에서 한 사람이 외칩니다.

“나 이 물건 10,000원에 팔래요!”

“나 9,800원이면 살게요!”

이렇게 서로 다른 가격으로 사겠다는 사람, 팔겠다는 사람이 각자의 희망 가격을 외치고 있는 거예요.

이게 바로 호가입니다. (呼價: 부를 호, 값 가)

그럼 호가창이란? 그 각각의 사자/팔자 희망가가 실시간으로 정리되어 보여지는 화면이에요.

 

📌 구성을 알아볼게요! 
- 매도 호가 (빨간색): 팔고 싶은 사람들의 가격과 수량
- 매수 호가 (파란색): 사고 싶은 사람들의 가격과 수량
- 체결가: 실제로 거래가 이루어진 가격 호가창을 보면, 위쪽은 매도자(팔 사람), 아래쪽은 매수자(살 사람)이고,

이 가격이 서로 맞물리는 지점에서 실제 거래가 체결됩니다.

체결이란? 사고판 가격이 딱 맞는 순간

그렇다면 거래는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주식 거래는 '선착순 + 가격우선' 원칙에 따라 서로 가격이 맞으면 자동으로 체결돼요.

 

📌 예시 상황
- 매도자 A: “나는 10,100원에 팔고 싶어.”
- 매수자 B: “나는 10,000원까지만 살래.”
→ 거래 불가 (가격이 안 맞음) 하지만, 어떤 매도자가 10,000원에 팔겠다고 하면 → B와 자동 체결됨!

 

✅ 주문 방식
- 지정가 주문: 내가 원하는 가격에 주문 (체결 안 될 수도 있음)
- 시장가 주문: 무조건 체결 (가격은 손해볼 수 있음)

초보자는 지정가 주문이 더 안전하니 꼭 처음엔 지정가 주문으로 매수매도 하는 연습을 하시길 바래요! 

 

호가창이란? 주식체결 원리

실전에서 호가창을 어떻게 봐야 할까?

앱을 보면 이런 구조로 되어 있을 거예요:

[매도호가]         [수량]
 10,050원         1,200주
 10,000원         3,500주
------------------------------
[매수호가]         [수량]
  9,950원         5,000주
  9,900원         4,300주

 

여기서 중간선 위는 파는 사람들, 아래는 사는 사람들이고, 가장 높은 매수 호가와 가장 낮은 매도 호가 사이가 실제 거래가 이루어지는 핵심 구간이에요.

 

✅ 체크포인트
1. 수량 많은 가격대 = 거래 몰리는 구간
2. 체결강도 = 매수/매도 속도
3. 매수세가 강하면 상승 가능성, 매도세 강하면 하락 가능성

단, 호가창만 보고 판단하는 건 위험해요. 기업 정보, 뉴스와 함께 보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처음엔 복잡하게 보이던 호가창도, 사실은 “누가, 얼마에 사고팔고 싶은가”를 정리한 표에 불과합니다. 이 구조를 이해하면, 주식 거래의 흐름이 한눈에 보이기 시작해요. 오늘부터는 앱을 열었을 때 단순히 “빨간 거 많네” 하고 넘기지 마시고, 누가, 어떤 가격에, 얼마나 사고팔고 있는지 직접 읽어보는 연습을 해보세요.

다음 글에서는 드디어! 주식 매수/매도 주문을 실제로 어떻게 넣는지, 주문 종류는 어떤 게 있는지 정리해 드릴게요.